국제이슈

북한 인터넷 완전 마비! 내부 기술 문제? 사이버 공격? 진실은?

춘삼e 2025. 6. 7. 12:08
728x90


요즘 세상에 인터넷 없이 하루를 산다는 거… 상상하기 쉽지 않죠.
근데 그런 일이 실제로 있었어요. 그것도 한 나라 전체가 9시간 동안 '인터넷 마비' 상태였다는 사실, 믿기시나요?

2025년 6월 7일 새벽, 북한이 온라인에서 통째로 사라졌던 일이 벌어졌습니다.

 

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?

처음엔 외신에서 조용히 돌던 뉴스였어요.
"북한 웹사이트들이 접속이 안 된다."
조선중앙통신, 외무성, 노동신문, 고려항공 등 대표적인 사이트들이 전부 동시에 먹통이 된 거죠.

1시간, 2시간… 시간이 흘러도 상황은 똑같았고, 결국 9시간 넘게 북한 전체 인터넷이 멈춰버린 거예요.

 

해킹일까? 서버 점검일까? 전문가들이 본 원인

사람들은 처음엔 “해킹 아니야?” 하고 추측했어요.
워낙 북한이 사이버전 관련 뉴스에 자주 등장하니까요.

그런데 보안 전문가들 얘기를 들어보면, 외부 공격보다는 내부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하더라고요.

  • 도메인 서버(DNS) 자체 응답이 사라짐
  • 인터넷 연결 경로도 끊긴 상태
  • 해킹 흔적이 보이지 않음

결국 ‘누가 공격한 게 아니라’, 북한의 인터넷 구조 자체가 워낙 불안정해서 생긴 일일 수 있다는 분석이 많았어요.

 

북한 인터넷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?

북한의 인터넷은 우리가 쓰는 인터넷이랑 구조가 많이 달라요.
일단 일반 국민은 인터넷 자체를 못 쓰고, 일부 정부 기관과 제한된 인원만 접속할 수 있거든요.

또 중요한 건, 외부 연결 통로가 거의 없다는 점이에요.

  • 대부분의 해외 인터넷 연결이 중국, 러시아 통신망에 의존
  • IP 주소도 극히 소수
  • 백업 서버나 이중화 시스템도 부족함

이런 구조에선 설정 하나만 꼬여도 전체가 다운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거죠.

근데… 이게 남의 일만은 아니더라고요

이 사건을 보면서 문득 제 회사가 떠올랐어요.
예전에 도메인 갱신 날짜를 놓쳐서, 웹사이트가 한나절 동안 닫혀 있었던 적이 있었거든요.

처음엔 “뭐 좀 있으면 다시 열리겠지” 했는데,
그 사이에 고객은 빠져나가고, 문의는 끊기고…
그날 하루, 진짜 땀이 쭉 빠졌던 기억이 납니다.

북한처럼 국가 전체가 마비된 건 아니지만,
우리 일상 속에서도 충분히 벌어질 수 있는 일이라는 걸 다시 느꼈어요.

 

그래서 저는 이렇게 준비하고 있어요

기술에 대해 잘 몰라도 괜찮아요.
누구나 할 수 있는, 꼭 필요한 대비 몇 가지를 공유해볼게요.

 

✔ 1. 백업은 무조건 기본

정기적으로 백업해두는 건 정말 중요해요.
서버든 문서든, ‘날아가면 끝’인 게 너무 많거든요.

 

✔ 2. 도메인과 DNS, 미리 점검하기

도메인 만료일은 꼭 달력에 표시해두고,
DNS 설정이 꼬이지 않게 주기적으로 확인해보세요.

 

✔ 3. 장애 알림 시스템 설정

서버나 사이트에 문제가 생겼을 때,
즉시 알림이 오도록 설정해두면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어요.

 

인터넷이 멈추는 순간, 모든 게 멈출 수도 있어요

북한의 이번 사건은 단순한 뉴스 그 이상이에요.
우리가 얼마나 ‘연결’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새삼 느끼게 해준 일인 것 같아요.

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도, 잠깐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.

  • 내 웹사이트, 안전한가요?
  • 백업은 잘 되고 있나요?
  • 도메인 갱신은 제때 하고 있나요?

예방은 어렵지 않지만, 놓치면 대가는 큽니다.
지금, 바로 점검해보세요. 후회는 그다음에 해도 늦지 않잖아요.

 

 

 

 

728x90